加入收藏 设为首页
연세대학교-일반대학원-국어국문학
  • 2017-03-26 14:59:56
  • 打印
국어국문학과
  학과소개

국어국문학과는 크게 국어학 전공과 국문학 전공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국문학 전공은 다시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으로 나뉘며, 현대문학 전공은 시, 소설, 수필, 희곡 등 모든 문학 장르를 포함하고 있고, 고전 문학 전공은 근대화 이전의 문학예술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국어학 전공에서는 고대 국어를 비롯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현대 국어 및 언어와 관련된 모든 문제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국문법의 체계, 국어의 변천사, 삶 속에서의 언어 쓰임새, 그리고 우리 말의 표기 수단이었던 우리 문자 등이 국어학 전공의 주요한 연구 관심 분야입니다.국어국문학과는 특별한 전통과 역사를 자랑합니다. 현재 각급 학교에서 교육되고 있는 국문법의 기본 구조는 바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연구실과 강의실에서 개발되어 발전된 것입니다.

  국어국문학과 교과목
학정번호 과목명 학점
19세기고소설연구 (STUDIES ON THE 19TH CENTURY NOVEL)

19세기 고소설의 특징을 다른 시기의 고소설과 비교해본다.
3학점
개화기대중문화연구 (STUDIES ON POPULAR CULTURE IN THE ENLIGHTMENT ERA)

근대 대중문화의 형성과정을 매체, 장르, 담당층, 산업, 주요 작품, 외국 문화와의 관계를 통해 이해한다.
3학점
개화기상업출판연구 (STUDY OF PUBLISHING IN THE AGE OF ENLIGHTENMENT)

19세기말 새로운 문물이 들어오면서 상업 출판은 어떤 양상을 띠게 되는가 하는 점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3학점
개화기시가연구 (STUDIES ON THE CLASSICAL POETRY IN THE ENLIGHTMENT ERA)

갑오개혁 이후 1910년대까지의 시가를 저널리즘 소재 시가, 활판가집 소재 시가, 필사본 시가, 유성기음반 소재 시가로 분류한 후 그 현황과 의미에 대해 분석한다.
3학점
개화기한문학연구 (STUDIES IN SINO--KOREAN LITERATURE DURING THE AGE OF ENLIGHTMENT)

근대전환기의 한문학 작품과 작가의 특성을 연구한다. 근대 이전과 달라진 점을 비교하고, 이들이 근대전환기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검토한다. 국문문학과의 관계, 새로운 매체인 신문 잡지에 실린 한문학 작품, 외국에 망명한 작가들까지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3학점
계몽기국어연구 (STUDIES IN ENLIGHTMENT ERA KOREAN LANGUAGE)

이 강좌는 근대 계몽기 한국어의 특성을 표기, 음운, 형태, 통사, 어휘의 여러 측면에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코퍼스 언어학의 방법론을 바탕으로 사용역에 따른 언어 변이를 밝히는 데에 초점을 둔다.
3학점
고려시대한문학연구 (STUDIES IN SINO-KOREAN LITERATURE)

문집이 다수 편찬되기 시작한 고려시대의 한문학 작가와 작품, 문집의 편찬과 인쇄, 서적의 유통과 시대상황 등을 정리 분석하여, 고려시대 한문학이 조선시대 한문학과 어떻게 다른지 연구한다.
3학점
고소설과 표기문자 (OLD NOVEL AND MARKED LETTERS)

이중언어로 전승되는 고소설을 중심으로 독서 대중의 출현과 언문의 지위, 소설 독자층의 취향, 고소설과 출판, 고소설과 번역 등 고소설 전승의 문제를이해한다.
3학점
고소설사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N OLD NOVEL )

고소설의 역사적 전개를 살펴본다.
3학점
고소설연구현황 (THE LATEST TRENDS IN STUDIES OF KOREAN OLD NOVEL )

고소설의 방각본, 필사본, 활판본 자료를 다룬다.
3학점
고소설이본연구 (DIFFERENT VERS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

필사본, 방각본, 활자본 등 다양한 고소설의 이본을 연구한다.
3학점
고소설자료연구 (STUDIES IN THE MATERIALS OF KOREAN OLD NOVEL )

고소설의 방각본, 필사본, 활판본 자료를 다룬다.
3학점
고시가운율연구 (STUDIES IN THE RHYTHM OF KOREAN CLASSICAL POETRY )

고전시가의 운과 율을 둘러싼 주요 쟁점을 살피고, 고시가 형식론의 토대를 구축한다.
3학점
고시가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CALSSICAL POEMS)

고시가 연구의 최근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특별 세미나를 진행한다.
3학점
고전문학과문화콘텐츠연구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E CONTENT)

고전문학의 현대적 재생으로써 문화콘텐츠화 방안에 대한 연구와 실습을 한다.
3학점
고전문학과 인접예술 (KOREAN CLASSICAL LITERATURE & ART)

고전문학과 인접하는 타예술장르들을 문화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연구한다.
3학점
고전문학과전통문화 (KOREAN CLASSICAL LITERATURE & CULTURE)

전통문화의 문화사적 배경에서 고전문학을 연구한다.
3학점
고전문학과젠더 (KOREAN CLASSICAL LITERATURE & GENDER)

한국고전문학의 각 장르를 젠더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3학점
고전문학배경연구 (STUDIES ON THE THOUGHT OF CLASSICAL LITERATURE )

한국고전문학의 배경으로써 민속, 사회, 정치, 종교 등 제반사항 역사적 전개와 관련하여 연구한다.
3학점
고전문학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방법론적인 모색을 위해, 다양한 방법론을 섭렵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3학점
고전문학현장조사 (FIELD WORKS IN CLASSICAL LITERATURE )

고전문학의 배경이 되는 현지의 답사, 자료 조사 등을 실습한다.
3학점
구비문학과미디어 (ORAL LITERATURE AND MEDIA )

전통적 공동체문화가 해체되고, 다매체 시대가 본격화한 현 단계 구비문학의 위상과 존재양상에 대해 연구하고, 제2구술문화의 시대에 구비문학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3학점
구비문학연구방법론 (RESSEARCH METHODS IN ORAL LITERATURE)

구비문학 연구를 위한 제 방법론을 탐구하고, 현장조사와 현장기술지 작성을 준비한다.
3학점
구비문학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ORAL LITERATURE)

구비문학 연구의 주요 쟁점이나 주제를 택해 세미나식 논문발표로 진행한다.
3학점
구전설화연구 (STUDIES IN ORAL TALE)

<구비문학대계>에 실린 지역별 설화와 현지조사를 통해 채집한 설화에 대해 연구하고, 구전설화의 전승과 전승집단의 집단적 정체성에 대해 연구한다.
3학점
구조언어학연구 (STUDIES IN STRUCTURAL LINGUISTICS)

구조 언어학 및 변형 생성 문법 등의 배경과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아울러 언어학 이론의 한국어 적용에 필요한 기초적인 개념과 용어를 익힌다.
3학점
국어구어문법연구 (STUDIES IN THE GRAMMAR OF SPOKEN KOREAN)

문어와 구어의 분석을 통하여 구어 문법 체계화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3학점
국어문법론연구 (STUDIES IN KOREAN GRAMMAR)

전통적이고 규범적인 학교문법을 지양하고, 변형 구조론적 입장에서 한국 문법에 관한 재정립을 시도한다.
3학점
국어문법론연습 (RESEARCH SEMINAR IN KOREAN GRAMMAR)

실제 국어자료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 문법의 전반적인 체계에 대한 기술 방법을 연구한다.
3학점
국어방언연구 (STUDIES IN KOREAN DIALECTOLOGY)

방언학적 기초 개념과 연구 방법론을 익히고, 국어의 방언 체계에 대해 연구한다.
3학점
국어사전학연구 (STUDIES IN KOREAN LEXICOGRAPHY)

사전편찬에 대한 일반언어학적 연구이론과 기존의 국어사전을 분석, 비판하고 국어사전의 편찬이론을 재정립한다.
3학점
국어사전학연습 (SEMINAR IN KOREAN LEXICOGRAPHY)

국어사전 편찬에서 실제적 분석과 토론을 통하여 사전학적 방법론의 적용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3학점
국어어원론연구 (STUDIES IN KOREAN ETYMOLOGY)

국어의 어원 연구의 기초적 개념과 연구 방법론을 익힌다.
3학점
국어음성학연구 (PHONETICS)

국어음성학의 기초적 개념과 범위, 연구 방법론을 익힌다.
3학점
국어음운론연구 (STUDIES IN KOREAN PHONOLOGY)

최근 국어음운론에서 논의되고 있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하여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3학점
국어음운사연구 (STUDIES IN PHONOLOGICAL CHANGE OF KOREAN)

국어 음운의 역사적인 변천 과정을 분석, 고찰하고, 그 통시적인 체계를 연구한다.
3학점
국어의미론연구 (STUSIES IN SEMENTICS OF KOREAN)

국어의 의미에 관련된 제반 현상을 분석, 기술하기 위한 방법론을 이해한다.
3학점
국어정보학연구 (STUDIES IN KOREAN LANGUAGE AND INFORMATION)

국어정보학의 연구방법론과 국어학과 정보학의 종합적인 이론을 살펴본다.
3학점
국어정보학연습 (SEMINAR IN KOREAN LANGUAGE AND INFORMATION)

실제적 분석과 토론을 통하여 국어의 국어정보학적 특성을 밝혀 기술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3학점
국어정책론 (STUDIES IN KOREAN LANGUAGE POLICY)

국어 정책 전반을 연구한다.
3학점
국어통사론세미나 (SEMINAR IN KOREAN SYNTAX)

국어 통사론의 최근 연구 주제를 선정하여 심층적인 세미나를 진행한다.
3학점
국어통사론연습 (SEMINAR IN KOREAN SYNTAX)

실제적 분석과 토론을 통하여 국어의 통사론적 특성을 밝혀 기술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3학점
국어통사론특강 (TOPICS IN KOREAN SYNTAX)

국어 통사론의 최근 논쟁이 되는 주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3학점
국어형태론연구 (STUDIES IN KOREAN MORPHOLOGY)

국어 형태소의 개념과 유형, 분석 방법론과 아울러 형태론적 이론을 정립한다.
3학점
국어형태론연습 (SEMINAR IN KOREAN MORPHOLOGY)

실제적 분석과 토론을 통하여 국어의 형태론적 특성을 밝혀 기술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3학점
근대국어연구 (STUDIES IN EARLY-MODERN KOREAN LANGUAGE )

이 강좌는 근대 국어의 특성을 표기, 음운, 형태, 통사, 어휘의 여러 측면에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코퍼스 언어학의 방법론을 바탕으로 사용역에 따른 언어 변이를 밝히는 데에 초점을 둔다.
3학점
근대시각문화론 (MODERN VISUAL CULTURE )

근대적 시각문화의 형성을 제도와 미학의 차원에서 탐구한다.
3학점
근현대문학과사상(정치, 국가 등) (MODERN LITERATURE & THOUGHTS (POLITICS, NATION ETC) )

한국 근현대문학을 통해 국가, 민족, 사회 등 다양한 근대적 정치·사회적 정체성의 형성 및 그 이데올로기적 작용을 연구한다.
3학점
근현대문학과재현(표상, 수사학, 서사론 등) (MODERN LITERATURE & REPRESENTATION(RHETORICS , NARRATOLOGY ETC))

한국 근현대문학을 표상론, 수사학, 서사학 등 다양한 재현 이론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3학점
근현대문학과제도(풍속, 도시, 일상생활, 매체 등) (MODERN LITERATURE & INSTITUITION(CUSTOMS, CITY, EVERYDAYLIFE, MEDIA ETC))

한국 근현대문학을 풍속과 일상,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제도 및 실천과의 관련 속에서 연구한다.
3학점
근현대문학과젠더(성, 계급 등) (MODERN LITERATURE & GENDER(SEXUALITY, CLASS ETC))

한국 근현대문학을 성, 계급 등의 젠더 분할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3학점
글쓰기교육의연구방법론 (METHODOLOGY OF WRITING)

글쓰기 교육에 관한 질적, 양적 연구 방법론을 학습하여, 글쓰기 교육과정을 분석할 연구 모형을 설계한다.
3학점
글쓰기교재연구 (STUDIES ON WRITING INSTRUCTIONAL MATERIALS)

글쓰기 교재 분석에 필요한 내용 체제 및 내용 전개 원리를 학습하고, 상황과 수준에 맞는 글쓰기 교재 내용을 구성한다.
3학점
글쓰기실험연구 (STUDIES IN EXPERIMENT OF WRITING)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글쓰기 과정 및 글쓰기 교육의 여러 현상들을 측정하고 분석한다.
3학점
글쓰기어법및문장 (USAGE OF GRAMMAR AND SENTENCE FOR WRITING)

이 강좌에서는 글쓰기 교육을 위해 필요한 한국어 어법과 문장의 원리를 강의한다.
3학점
글쓰기연구사 (STUDIES IN HISTORY OF WRITING THEORY )

형식주의, 인지구성주의, 사회구성주의, 대화주의, 포스트모던 등에 나타난 글쓰기 이론 및 연구 동향을 파악한다.
3학점
글쓰기와수사학 (WRITING AND RHETORIC)

수사학적 전통이 글쓰기 이론에 미친 영향 관계를 찾아보고, 글쓰기 교육에 필요한 수사학적 요소를 학습한다.
3학점
글쓰기의이론적탐색 (THEORY OF WRITING)

글쓰기에 필요한 일반 이론을 학습하고 분야별로 특성화된 글쓰기 이론을 연구한다.
3학점
글쓰기인지과정 연구 (STUDIES IN COGNITIVE PROCESS OF WRITING)

글쓰기에 관한 인지심리학적 이론들을 검토하고, 글쓰기의 인지적 원리를 학습한다.
3학점
글쓰기지도방법과전략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OF WRITING)

대학 글쓰기 교육의 일반적인 교육과정을 학습하고 구체적인 교육방법 및 수업전략을 탐색한다.
3학점
글쓰기평가연구 (STUDIES IN ASSESSMENT OF WRITING)

글쓰기 평가의 다양한 종류와 구체적 방법을 살펴보고, 글쓰기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탐색한다.
3학점
대조언어학연구 (STUDIES IN CONTRASTIVE LINGUISTICS)

본 강좌는 기본적으로 한국어를 중심으로 둘 이상의 언어를 체계적으로 대조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한국어 교육, 두언어 사전 편찬, 번역 교육, 기계번역 등에 활용하는 데에 필요한 방법론과 자료 처리 능력을 길러, 향후 각 영역에서의 연구에 응용 할 수 있도록 한다.
3학점
대조언어학연구 (STUDIES IN CONTRASTIVE LINGUISTICS)

본 강좌는 기본적으로 한국어를 중심으로 둘 이상의 언어를 체계적으로 대조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한국어 교육, 두언어 사전 편찬, 번역 교육, 기계번역 등에 활용하는 데에 필요한 방법론과 자료 처리 능력을 길러, 향후 각 영역에서의 연구에 응용 할 수 있도록 한다.
3학점
대중가요의형성과전개 (STUDIES IN POPULAR SONGS )

대중가요의 개념과 범주를 이해하고, 한국의 대중가요 형성과정과 전개과정, 대중가요의 하위 양식, 담당층, 문화산업, 주요 작가를 탐구한다.
3학점
대학 글쓰기 강의모형 연구 (STUDIES IN THE MODELS OF COLLEGE LECTURE ON WRITING )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에 적합한 강의 모형을 실험, 개발한다.
3학점
대화분석연구 (STUSIES IN CONVERSATION ANALYSIS)

대화분석에 대한 실제 언어 사용 장면을 분석하여 국어의 대화분석 이론을 정립한다.
3학점
동아시아고전소설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OLD NOVEL IN EAST ASIA)

근대 이전 시기의 조선, 중국, 일본의 소설에 대한 개념 및 그 흐름, 그리고 주요 작품의 내용을 검토하여 그 특징을 파악한다.
3학점
동아시아고전여성문학론 (STUDIES IN CLASSICAL WOMEN LITERATURE IN EAST ASIA )

근대 이전 한·중·일 삼국의 여성문학의 현황을 비교사적 시각으로 연구하고, 삼국 여성주의 문학연구의 쟁점을 비교·분석한다.
3학점
동아시아문학비교연구 1·2 (COMPARATIVE RESEARCH OF EAST ASIAN CULTURE )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의 근대문학과 상호 교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대문학 형성기에 이 나라들에 있어서의 신문학의 발흥과 그 영향 관계는 어떠한 것이었는가, 그 결과 각각의 근대문학은 어떤 특수성을 갖게 되었는가를 탐구한다.
3학점
동아시아문화교류연구 (STUDIES IN CULTURAL EXCHANGE IN EAST ASIA)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한 중국과 일본이 이천년 동안 어떻게 문화교류를 했는지 연구 조사한다. 동아시아의 범위가 넓지만, 한자(漢字)를 공유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한중문화교류와 한일문화교류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첫 주 강의를 통해서 수강생들의 관심을 조사하여, 강의개요를 구체적으로 정한다.
3학점
동아시아시가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IN THE CLASSICAL POETRY OF EAST ASIA )

한문과 유교문화를 공유하는 한·중·일 삼국의 시가를 비교문학 시각으로 살피고, 문어과 구어, 한문시가와 자국어시가의 위상을 비교분석한다.
3학점
동아시아출판문화연구 (STUDIES ON THE PUBLICATION OF EAST ASIA )

중국과 일본의 전근대 출판 양상 가운데, 특히 민간에 의한 출판을 다룬다.
3학점
동아시아한문학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LITERATURE IN CHINESE IN EAST ASIA )

근대 이전의 동아시아는 한자로 문자생활을 하던 공동체였으므로, 중국의 문예사조가 한국과 일본, 그리고 베트남까지 전파되었다. 당대의 문예사조 뿐만 아니라, 한문(漢文)과 당시(唐詩)의 모범이 후대에까지 영향을 끼쳤으며, 중국의 수많은 문장가와 시인들을 사숙하였다. 작품 자체의 비교를 포함하여, 사승(師承)과 원류(源流), 독서와 서적의 유통까지 아울러 연구한다.
3학점
디지털문학예술론 (STUDIES IN DIGITAL ARTS AND DIGITAL LITERATURE )

가상현실, 쌍방향성,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하이퍼텍스트 공간에서의 문학적 실험을 연구한다.
3학점
말뭉치국어문법연구 (STUDIES IN KOREAN GRAMMAR BASED ON CORPUS)

말뭉치를 활용한 국어 문법 연구 방법론을 익힌다.
3학점
말뭉치언어학연구 (STUDIES IN CORPUS LINGUISTICS )

이 강좌에서는 코퍼스 언어학의 이론과 실제를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국어학의 제반 하위 영역에서의 연구 및 응용을 위한 코퍼스의 구축 및 분석과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
3학점
말뭉치언어학연습 (SEMINARS IN CORPUS LINGUISTICS )

이 강좌에서는 국어 연구를 위해 필요한 한국어 코퍼스의 구축 및 그 활용, 그리고 코퍼스의 분석과 활용에 요구되는 도구의 사용법을 익힌다. 특히 실제 코퍼스의 분석을 활용하여 국어 연구에 요구되는 실제 자료 처리 능력을 익히는 데에 초점을 둔다.
3학점
문자학연구 (STUDIES OF WRITING)

문자의 발생과 발전에 관계된 전반적인 문제와 특히 문자개혁에서 부딪히는 실제적, 이론적 문제를 검토한다.
3학점
문체론연구 (STUDIES IN STYLISTICS)

수사학과 문체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루며, 이를 통해 한국 문학 작품을 논의한다.
3학점
문학과인접학문 (STUD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ITS ADJACENT SCIENCES )

최근 문학 이론에 도입되고 있는 심리학, 철학, 사회학 등의 당양한 이론을 검토하고, 그 이론이 문학 작품을 해명하는 데 어떤 도움을 주는지 논의한다.
3학점
문학이론연구 1·2 (ON LITERARY THEORY1,2)

문학이론과 용어에 대해 탐구한다. 이를 통해 비평적 읽기와 문학연구의 방법을 조망한다.
3학점
문학제도연구 (ON LITERATURE AS AN INSTITUITION)

문학작품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제도를 연구한다. 작가와 독자 및 제도화된 기구들의 작용을 탐구한다.
3학점
문헌설화특수연구 (ADVANCED STUDIES IN WRITTEN TALES )

<삼국유사>에 들어있는 이야기를 분류해보고, 이들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밝힌다.
3학점
문화간의사소통 (INTERCULTURAL COMMUNICATION)

한국학 전공 외국연구자들의 자국문화와 한국문화 사이의 이해와 공감, 그리고 외국연구자들 사이의 상호 문화 이해를 위한, 다문화간 의사소통의 양상과 방법을 탐구.
3학점
문화간의사소통 (STUDI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문화간 의사소통 문제에 관한 기초 이론을 이해한다.
3학점
문화매체실험 (PRACTICES IN CULTURAL MEDIA )

사이버 문학의 다양한 형식을 분석하고, 이를 발전시켜 창작하게 한다.
3학점
문화연구의개념과실제 (CONCEPT AND PRACTICE OF CULTURAL STUDIES )

문화연구의 근본 개념들을 이해하고 문화의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개념과 실제 사이의 연관성을 탐구하며, 문화현상들의 조직적 이해와 창의적 개념의 창출을 모색함.
3학점
문화콘텐츠분석및연습 (ANALYSIS AND EXPERIENCE OF DIGITAL CULTURAL CONTENTS )

디지털 문화 콘텐츠를 분해하고 합성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속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콘텐츠로 변용시키는 방법을 연구함.
3학점
민속신앙과민간의례 (ETHNIC RELIGIONAND RITUALl)

민속신앙과 민간의례에 나타난 한국인의 의식, 정체성, 문화적 표현방식을 연구하고 이것이 한국의 공연예술 전반에 끼친 영향을 연구한다.
3학점
민요연구 (STUDIES IN FOLK SONGS )

구비문학 및 문헌 소재의 민요를 대상으로 이론적 측면과 분석적 측면에서 연구한다.
3학점
방각본연구 (STUDIES ON `BANG GAK BON`)

방각본 소설의 생산과 유통 등 방각본 소설 전반에 대해 연구한다.
3학점
번역고소설연구 (STUDIES ON THE KOREAN OLD NOVEL IN TRANSLATION )

중국소설을 번역한 고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번역의 양상과 의미를 밝힌다.
3학점
번역문학론 (STUDIES IN THE TRANSLATION OF LITERATURE )

번역의 문학적, 문화적 의의를 규명하고, 한국 번역문학의 역 및 전망에 대해 논의한다.
3학점
변형생성이론연구 (STUDIES IN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

구조주의 이후 변형생성문법 등 일반언어학적인 이론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과 체계를 이해한다.
3학점
북한국어학연구 (STUDIES IN LINGUISTIC RESEARCH IN NORTH KOREA )

북한 국어학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그 변화 및 발달 과정을 살펴본다.
3학점
비교문학이론연구 1·2 (ON THEORY OF COMPARATIVE LITERATURE 1,2 )

비교문학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연구한다. 비교문학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를 탐구한다.
3학점
사회언어학연구 (STUDIES IN SOCIOLINGUISTICS)

이 수업은 매우 다양한 연구 대상과 방법론을 가지고 있는 사회언어학 이론의 근본적 문제의식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한국어와 관련한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고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학점
사회언어학연습 (SEMINAR ON SOCIOLINGUISTICS )

한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집단들의 언어 사용형태와 그 사회적 기능을 미시적 단계까지 추적한다.
3학점
세계문학과한국문학의비교연구 1·2 (WORLD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IN KOREAN LITERARY GROUND)

한국의 문학작품과 세계 다른 나라의 문학작품들을 비교연구함으로써, 바깥으로부터의 감성을 통해 한국문학을 새롭게 이해하는 한편, 언어에 기반한 국가 단위로서 이해되는 문학과 상상력에 기반한 세계 단위로서 이해되는 문학 사이의 관계를 성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학점
세계문학으로서의한국문학 1·2 (KOREAN LITERATURE AS WORLD LITERATURE)

세계문학의 관점에서 한국문학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가. 한구문학은 세계문학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으며 어떻게 관련되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 작품을 강독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학점
세책고소설연구 (STUDIES ON LENDING LIBRARY VERSION NOVEL)

세책으로 유통되던 고소설의 특징에 대해서 연구한다.
3학점
소설이론연구 (ON THEORY OF NOVEL )

소설의 이론을 연구한다. 소설의 역사와 형태학, 사회학, 윤리학을 탐구한다.
3학점
시가의 장르와 역사 (GENRE AND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

한국 시가의 주요 장르를 사적으로 개관하고, 장르의 형성, 전개, 전환 과정을 담당층, 주요 작품, 주제의식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3학점
시가자료연구 (STUDIES IN THE MATERIALS OF KOREAN CLASSICAL POETRY )

시가 연구의 원 자료인 가집과 문집 소재 시가 자료와 관련 자료를 정리하고, 시가자료의 현황과 의미를 탐구한다.
3학점
시이론연구 (STUDIES IN THEORIES OF POETRY )

고대에서 현대까지 동서양의 모든 시론을 연구한다.
3학점
시조·가사연구 (STUDIES IN SIJOAND KASA )

시조와 가사의 장르적 정체성, 담당층, 사적 전개, 주요 작품, 현재적 의미를 연구하고, 연구사의 쟁점을 파악한다.
3학점
식민지표상론 (COLONIAL REPRESENTATIONS)

한국에 영화가 수입되어 상영되기 시작할 때부터 활동사진, 연쇄극, 계몽영화를 거쳐 상업용 극영화의 형식으로 제작될 무렵까지 서구 및 일본의 시선에 포착된 조선(인)의 표상과 조선(인) 스스로의 카메라를 통해 시각화된 조선(인)의 표상에서 어떠한 방식의 미학화가 이루어졌는가를 살핀다.
3학점
쓰기 매체 연구 (STUDIES IN MEDIA OF WRITING )

글쓰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매체들을 분석하고 매체에 따라 달라지는 문식성의 특징을 학습한다.
3학점
아시아문화론(외국어) (RESEARCH OF ASIAN CULTURE)

아시아'의 개념, '아시아'의 탄생을 비롯해서 근대 이래 '아시아'의 형성과 그 전개 과정을 파악한다. 이러한 탐구를 통하여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선 아시아 문화에 관한 새로운 관점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3학점
아시아영상문화 (STUDIES IN EAST ASIA VISUAL TRANS-CULTURE )

한, 중, 일을 중심으로 영화와 드라마의 상호 교류 현황을 조사하고 문화적인 차원에서의 구체적 영향 관계를 분석한다.
3학점
언어규범론연구 (STUDIES IN LINGUAGE NORMS )

언어의 규범에 관한 이론을 중심으로 국어의 규범과 맞춤법 및 표준어 정책을 분석, 연구한다.
3학점
언어민족지학연구 (STUDIES IN LINGUISTIC ETHNOGRAPHY )

언어사용과 사회적, 문화적 가치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언어민족지학의 일반이론들을 분석, 비판하고 국어의 의사소통 민족지학을 정립한다.
3학점
언어습득론연구 (STUDIES IN LANGUAGE ACQUISITION)

어린이나 외국인이 특정 언어를 습득하면서 불러일으키는 심리언어학적, 사회언어학적, 문법론적 문제점을 체계 있게 연구한다.
3학점
영상문학론 (THEORY OF CINE-LITERATURE )

6-70년대 대중문화의 지형 속에서 문학과 영화의 자리를 탐색한다.
3학점
영상이론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VISUAL CULTURE )

서구와 아시아에서 구성된 영상이론을 비교 검토한다.
3학점
영화비평론 (FILM CRITICISM )

다양한 영화비평론을 검토하고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새로운 비평론을 모색한다.
3학점
영화와민족,국가 (REPRESENTATION OF NATIONAL IDENTITY )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근대 민족-국가의 표상이 형성되는 과정을 탐구한다.
3학점
외국문학으로서의한국고전문학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 A FOREIGN LITERATURE )

외국인대학원생을 위해 한국고전문학의 문화적 배경, 고전문학사, 대표작가 및 작품 등에 대해 개괄적으로 강의한다.
3학점
외국문학으로서의한국현대문학 (KOREAN MODERN LITERATURE AS A FOREIGN LITERATURE )

외국인의 입장에서 한국문학을 논의하고 연구함으로써 외국인이 한국문학을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
3학점
외국어로논문쓰기및발표하기(한국인) (ACADEDIC WRITING AND PRESENTATION IN FOREIGN LANGUAGE)

본 과목은 외국어(영어 및 기타 외국어) 작문 능력을 신장하고 연구 결과물의 번역 능력을 익히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외국어로 말하는 방법을 신장하여 토론 능력을 익히게 하는 데에도 중점을 둔다.
2학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특강 (SEMIN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과 한국어교수학에 관한 최근의 논제를 살펴, 이를 토해 효과적인 한국어교유학의 방법론을 모색해 본다.
3학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정보교육론 (STUDIES IN THE THEORIES OF COMPUTER-BASED INSTRUCTION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이 강좌는 자료 기반 언어 교육의 기본 이론과 방법론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코퍼스와 컴퓨터를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학습 자료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초점을 둔다.
3학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AS A FOREIGN LANGUAGE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의 문법 체계 전반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과 용어를 이해한다.
3학점
응용언어학연구 (STUDIES IN APPLIED LINGUISTICS)

응용언어학의 기초적 개념과 범위, 연구 방법론을 익힌다.
3학점
전기소설연구 (STUDIES IN CHUANQI(傳奇) )

<수이전>, <금오신화> 등의 한국 전기의 내용과 특징을 중국의 전기와 비교해본다.
3학점
전통문법연구 (STUDIES IN TRADITIONAL GRAMMAR)

전통문법과 규범문법의 이론적 배경과 원리, 특성과 체계를 연구한다.
3학점
젠더와문화비평 (CULTURAL STYDIES AND THEORIES OF GENDER )

젠더 이론에 입각하여 여러 문화 현상의 심층적 의미를 연구한다.
3학점
조선전기한문학연구 (STUDIES IN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

임진왜란 이전 한문학의 특성을 조선 전기 사상사의 동향, 원명 교체기 대외적 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 다룬다. 강의생의 관심에 따라 어느 한 시기를 중점적으로 연구할 수도 있다.
3학점
조선후기대중문화연구 (STUDIES IN MASS CULTURE IN POST-YI DINASTY)

조선 후기 문학 작품을 통해 당대의 대중 문화 양상을 알아본다.
3학점
조선후기문헌설화연구 (STUDIES IN WRITTEN TALES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

시정 세태를 반영한 조선 후기 야감과 일화의 산문문학사적 의의를 밝힌다.
3학점
조선후기한문학연구 (STUDIES IN SINO-KOREAN LITERATURE )

임진왜란 이후의 한문학을 실학과 서학, 중국과 일본 등을 관련하여 조선전기와 어떻게 달라졌는지 연구한다. 수강생의 관심에 따라 어느 한 시기를 중점적으로 연구할 수도 있다.
3학점
중세국어연구 (STUDIES IN MIDDLE LINGUISTICS)

15세기의 공시적(共時的) 어법체계를 모색함과 동시에 15세기 이전과 그 이후의 어법체계의 연결 관계를 추정 연구한다.
3학점
중세국어음운론연구 (STUDIES IN PHONOLOGY OF MIDDLE KOREAN)

15세기 문헌을 중심으로, 그 문헌에 나타난 음운 체계를 분석 연구한다.
3학점
출판문화론 (THEORY OF PUBLISHING CULTURE )

한국학과 관련하여 조선시대 한글 서적이나 근대 이후의 상업 출판 및 출판 문화에 대해 조사, 분석한다.
3학점
출판사회학 (SOCIOLOGY OF PUBLICATION )

출판의 생산과 유통 과정을 탐구하고, 그 사회적 존재양상 및 의미작용을 연구함.
3학점
콘텐츠연구방법론 (METHODOLOGY OF DIGITAL CULTURAL CONTENTS )

일반적 문화 자원과 디지털 문화 콘텐츠의 차이를 이해하고 일반 문화 자원을 디지털 문화 콘텐츠로 개발하는 방법을 연구함.
3학점
판소리계소설연구 (STUDIES IN THE PANSORI NOVEL )

고소설 가운데 판소리계 소설로 분류할 수 있는 작품의 특징을 고찰한다.
3학점
판소리계소설특수연구 (ADVANCED STUDIES IN THE PANSORI NOVEL )

판소리계소설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 <춘향전>에 대해서 연구한다.
3학점
하이퍼텍스트와문학 (HYPERTEXT and LITERATURE )

대 사회의 핵심 문화이자 예술인 문학과 디지털 문명의 새로운 매체이자 새로운 예술의 기반인 하이퍼텍스트 사이의 비교 연구
3학점
한국고전문학번역연습 (TRANSLATION PRACTIC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

조선시대 두시언해(杜詩諺解)를 비롯한 한문학 작품의 한글 번역과정을 연구하고, 현대 번역문을 예로 들어 잘잘못을 검토하며, 실제로 한시나 산문을 한글로 번역해본다.
3학점
한국고전문학연구사 (HISTORY OF THE STUDY OF KOREAN CLASSIC LITERATURE )

근대 학문의 성립 이후 고전문학을 연구해 온 자취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3학점
한국고전문학특강(외국어) (KOREAN CLASSICAL LITERASTURE )

한국고전문학 전반에서 주제를 선정하여 외국어를 사용하는 세미나 방식으로 진행한다.
3학점
한국근대문학과세계화 1·2 (KOREAN MODERN LITERATURE AS WORLD LITERATURE 1,2 )

한국문학의 세계화란 무엇인가, 그 방법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이론 및 실제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 작품을 강독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학점
한국근대문학원전강독 (ORIGINAL LITERARY TEXTS READING )

이 과목은 단행본, 잡지, 신문 등과 같은 한국 근대 문학의 원전 자료들을 문헌학적이고 주석적으로 읽고 논의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한계나 오류를 발견하는 동시에 새로운 텍스트, 사실, 사상, 문화, 인물 등을 발굴함을 목적으로 개설된다.
3학점
한국근대문학풍속사연구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ON MODERN KOREAN CUSTOMS)

이 과목은 한국 근대 문학을 풍속, 문화적으로 이해하고 논의하기 위해 개설된다. 더 나아가 이 과목은 풍속 연구를 통해 근대 문학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재구성하기 위한 시각과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한다.
3학점
한국근대일본어작품연구 (STUDIES ON THE MODERN KOREAN LITERARY WORKS WRITTEN IN JAPANESE )

이 과목은 식민지기에 일본어로 창작된 다양한 텍스트들을 읽고 논의함으로써 식민지기 문학과 역사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개설된다. 따라서 이 과목은 아직 읽기와 분석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일본어 텍스트들을 본격적으로 문제시한다.
3학점
한국근현대문학번역연습 (TRANSLATION PRACTICE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

이 과목은 일본어로 창작된 텍스트들을 한국어로 번역하거나 한국어 텍스트들을 외국어로 번역하는 연습을 수행하기 위해 개설된다. 전자는 한국 근대 문학의 자료를 축적함을 목적으로 하며 후자는 외국의 독자, 연구자, 학생들이 한국 문학 작품들을 읽고 연구하며 학습하는 데에 필요한 번역 텍스트의 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3학점
한국근현대문학사 1·2·3 (STUDIES O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

1,2,3 근대 이후 한국문학이 전개 되는 과정을 시기별, 양식별로 정리한다. 다양한 문학사 기술의 관점을 이해하고 한국문학의 역사적 맥락과 그것이 세계문학 속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 연구한다.
3학점
한국근현대문학의배경 (BACKGROUND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RURE )

이 과목은 외국 학생들이 한국 근현대 문학 텍스트들을 정확하고 심도 있게 이해하고 분석하도록 하기 위해 개설된다. 따라서 이 과목에서는 텍스트 읽기와 함께 작가, 시대, 문화, 풍습, 제도, 언어 등 텍스트 이해에 필수적인 다양한 배경적 사실들을 논의한다.
3학점
한국근현대비평사연구 (STUDIES ON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Y CRITICISM )

한국 근대문학 이론의 흐름에 대해 정리한다. 한국 근대 비평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문학 이론들이 탄생하고 변화하는 과정에 대해서 연구한다. 주요 문학 논쟁 및 대표적 근현대 비평가들의 업적에 대해서도 정리한다.
3학점
한국근현대소설사연구 (STUDIES ON HISTORY OF MODERN KOREAN NARRATIVE )

한국 근대 서사문학 양식이 발생하고 전개되는 과정을 정리한다.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서사 자료의 특질에 대한 정리를 통해 한국 근대 서사문학이 지니는 세계문학적 보편성과 한국문학적 특수성에 대해 이해한다.
3학점
한국근현대시사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근대 이후 한국 시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연구함.
3학점
한국근현대작가연구 1·2 (STUDIES ON MODERN KOREAN WRITERS 1,2)

한국 근대 작가의 문학적 생애와 대표적 작품에 대해 시기별로 연구한다. 근대 작가의 등단 과정과 작품 창작의 시대적 배경 등 문학 제도 관련 주제들에 대해서도 연구를 병행한다.
3학점
한국대중문화론 (STUDIES IN MASS CULTURE IN KOREA )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적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당대 문화에서 대중문화가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고찰한다.
3학점
한국문화론 (STUDIES IN KOREAN TRADITINAL CULTURE )

(외국인 학생 선택)한국문화 일반 이론을 익힌다.
3학점
한국문화의국제화연구 (GROUPING FOR THE GLOBAL APPRECIATION OF KOREAN CULTURE )

한국문화를 세계문화 내의 개별문화로 정립시키고 세계인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3학점
한국시화연구 (STUDIES IN SIHWA)

한국시화자료를 강독하고 문학론, 작가론, 작품론 등의 측면에서 연구한다.
3학점
한국어교수법 (KOREAN TEACHING SKILLS)

학습자 중심 또는 현장 중심의 한국어 교육의 기본 이론과 구체적인 방안을 각 언어 기능 영역별로 제시해 보고,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알리는 방법과 전파의 방향성을 심도 있게 연구한다.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를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논의한다.
3학점
한국어교육과정론 (TEACH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

본 과목에서는 이해기능인 듣기와 읽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교수할 것인지 대해서 학습한다. 또한 다른 기능과의 통합적인 교육방법을 모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 교육방법을 논의한다.
3학점
한국어교육실습 (PRACTICE IN TEACHING KOREAN)

실제 현장에서 부딪힐 수 있는 여러 교육적 상황을 모형화하거나 실습 현장을 마련하여 직접 행해본다.
3학점
한국어교육특강 (TOPIC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교육과 관련한 연구 주제를 토대로 하여 구체적인 연구 방법과 절차를 수립하고 이를 세미나 형식으로 실행함으로써, 한국어교육 분야에서의 연구 능력과 학위 논문 작성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3학점
한국어담화교육론 (TEACHING METHOD OF KOREAN DISCOURSE)

효과적인 언어학습을 위해서는 담화의 결속성, 결속 구조, 의도성이나 용인성, 상황성, 정보성과 상호텍스트성 등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강의는 이를 위해 담화의 개념 및 유형을 살피고 언어교육에서 담화교육의 효용성을 논의해 본다.
3학점
한국어로논문쓰기및발표하기(외국인) (ACADEDIC WRITING AND PRESENTATION IN KOREAN)

(외국인학생 공통필수) 외국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국어로 학술적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친다.
2학점
한국어문법교육론 (TEACHING METHOD OF KOREAN GRAMMAR)

한국어 문법의 효과적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이 과목의 목표이다. 이 강좌에서는 문법에 대해 전반적인 이론과 그 구체적인 교육방법을 학습할 것이다.
3학점
한국어발음교육론 (TEACHING METHOD OF KOREAN PRONUNCIATION)

한국어의 음운체계와 그에 대한 학설들을 비교 연구하여, 외국인들의 학습에 바람직한 모델을 구성하는 문제를 논의한다.
3학점
한국어어휘교육론 (TEACHING METHOD OF KOREAN VOCABULARY)

한국어 어휘 교육의 방법론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어휘제시 방법과 그 교육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3학점
한국어이해교육론 (TEACHING METHODOLOGIES OF KOREAN LANGUAGE LISTENING AND READING )

언어의 이해기능으로서 듣기, 읽기의 이론적 기초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의 듣기, 읽기 교수의 실제 기술에 대해 체계적인 연습을 한다.
3학점
한국어평가론 (KOREAN LANGUAGE ASSESSMENT)

평가의 기능, 평가의 종류, 평가의 유형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평가의 유형으로서 수행평가와 성취도평가를 연구한다.
3학점
한국어표현교육론 (TEACH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SPEAKING AND WRITING )

외국어학습에서는 문자나 음성 언어를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능동적으로 의사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능력의 향상이 중요 하다. 이 강좌에서는 표현기능인 말하기와 쓰기의 특징과 유형을 살피고, 그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3학점
한국어학습자사전연구 (STUDIES IN LEXICOGRAPHY FOR KOREAN LEARNER'S DICTIONARY )

이 강좌에서는 학습자 사전 편찬의 일반 이론을 익히고, 그 일반 이론을 어떻게 한국어에 적용할 것인가를 탐구하며, 이와 함께 한국어 학습자 사전 편찬사를 정리한다.
3학점
한국어학습자사전연습 (SEMINAR IN LEXICOGRAPHY FOR KOREAN LEARNER'S DICTIONARY )

이 강좌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몇몇 한국어 학습자 사전의 장단점을 실제 한국어 자료와 사전 텍스트의 검토를 통해 살펴보고, 학습자 사전 편찬 일반 이론에 바탕을 둔 사전 개발의 실제 방법론을 익힌다.
3학점
한국한문학특수연구 (STUDIES IN PARTICULARITY OF SINO-KOREAN LITERATURE )

박사과정생들의 학위논문 준비를 위해, 해당학기 필요한 주제를 선정한다. 예를 들어, “해외한국학전적조사연구”라는 주제의 경우는 이렇다. 우리 고전들이 전쟁이나 약탈, 외교관이나 선교사들의 수집이나 상업적 판매에 의해 외국에 많이 유출되었다. 개인 소장 전적들은 조사하기 힘들지만, 도서관에 소장된 전적들은 상당수 소재가 파악되었으며, 국내에 소개된 자료들도 많다. 그렇지만 아직도 대부분의 자료들은 소개되지 않은 상황이다. 우리 고전들이 소장된 외국 도서관의 현황을 조사하고, 각 도서관 소장자료의 특성을 분석하며, 일부 수집된 자료를 강독한다. 자료를 열람하는 방법도 알아본다. 비용이 마련되는 학생과 외국에 나가 실습한다.
3학점
한국한시연구 1·2 (STUDIES IN KOREAN POETRY IN CHINESEI·II )

한시의 구조와 미학, 효용성과 창작기법 등을 연구한다. 수강생들에게 실제로 한시 창작까지 권유한다.
3학점
한국한자음연구 (STUDIES ON THE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

한국의 한자음에 대한 역사적 연구를 한다.
3학점
한문문집연구 (STUDIES IN MISCELLANIES IN CHINESE 고려시대부터 편집 간행되기 시작한 한문 문집을 정리하고, 문집과 관련된 작가의 특성, 시대의 특성을 연구한다. 서지학적인 검토와 아울러, 문집이 지닌 사회적 가치도 연구한다. 3학점
한문비평연구 (STUDIES IN SINO--KOREAN LiITERARY CRITICISM )

한국의 대표적인 시화들을 강독하며, 시화의 개념 및 대체적인 흐름을 파악한다. 문집에 실린 문학관과 시론, 소설론 등도 연구한다.
3학점
한문산문연구 (STUDIES ON KOREAN PROS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한국한문학사에서 발달안 각종 문장을 강독하고, 작가론, 작품론, 문장이론, 문화 등 제반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3학점
한문소설연구 (STUDIES IN THE SINO-KOREAN NOVEL )

한국 한문소설 작품에 대하여 연구한다.
3학점
한문학사연구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

우리나라에 한자가 전래된 이래, 한문학사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연구한다. 훈민정음 장체 이전과 이후, 국문문학과의 관계도 아울러 연구한다.
3학점
한문학작가연구 1·2 (STUDIES IN AUTHORS OF SINO-KOREA I·II)

한국 한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를 연구한다. 한 시기의 작가들을 연구할 수도 있고, 수강생의 관심에 따라 한 작가를 집중적으로 연구할 수도 있다.
3학점
해외한국영화연구동향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CINEMA )

해외에서의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과 연구 결과물들을 분석하고, 그 경향성을 고찰한다.
3학점
해외한국전적자료조사 (RESEARCHING FOR KOREAN DOCUMENT ABROAD)

해외에 존재하는 한국고전적 자료를 조사, 정리하는 실습 수업이다.
3학점
향가·여요연구 (STUDIES ON THE KOREAN CLASSICAL POETRY IN THE SHILLA AND KORYO DYNASTY )

향가와 고려가요의 장르적 정체성, 담당층, 사적 전개, 주요 작품, 현재적 의미를 연구하고, 연구사의 쟁점을 파악한다.
3학점
현대언어학연구 (STUDIES IN MODERN LINGUISTICS)

일반 언어학적 기초 개념을 익히고, 언어학적 연구 능력을 배양한다.
3학점
현대음운이론연구 (THEORIES OF MODERN PHONOLOGY)

현대언어학의 음운이론을 분석, 비판하고 국어학 및 일반언어학적인 음운이론을 정립한다.
3학점
현대통사이론연구 (MODERN SYNTAX)

최근의 통사 이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그 실제적 분석 방법을 익힌다.
3학점
화용론연구 (STUDIES IN PRAGMATICS)

현대 화용론에서 제기되는 제반 문제들을 포괄성 있게 한국어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3학점
훈민정음연구 (A STUDIES OF THE `HUN-MIN-JUNG-EUM`)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를 언어학적, 동양철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여기서 국어학의 연구사적 의의를 모색한다.
3학점
희곡및연극이론연구 (PLAYlWRIGHT AND THEATRICAL DRAMAS )

세계 연극의 발달사를 고찰하고 현대 희곡과 연극의 각종 이론을 교수한다.
3학점
  학과내규

1. 전공은 국어학, 현대문학, 고전문학으로 나눈다. 국어학 전공의 세부전공으로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전공이 있으며, 수강 교과목에 따라 한국어교사자격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2. 본 학과의 석박사과정 학생은 셋째 학기 등록 이전에 전공에 따른 지도교수를 정하여야 한다.

3. 본 학과의 석사과정에 필요한 학점을 취득하고, 종합시험을 보고자 하는 학생은 그 전에 지도교수로부터 전공학점 취득에 대한 제반 규정에 적절한지의 여부에 대하여 종합적 평가를 받아야 한다.

4. 석박사과정의 모든 학생은 다음의 규정에 의해 학점을 취득할 수 있다. 
㉮ 석사학위 취득에 필요한 최저 30학점 중 21학점은 본 학과에서, 나머지 학점은 지도 교수의 승인을 얻어 타 학과에서 개설하는 과목으로 취득할 수 있다. 
㉯ 박사학위 취득에 필요한 최저 30학점 중 21학점은 본 학과에서, 나머지 학점은 지도 교수의 승인을 얻어 타 학과에서 개설하는 과목으로 취득할 수 있다. (2006. 9월 이후부터 적용)

5. 외국어 시험, 종합시험, 논문은 별도의 규정에 따른다.

  외국어 시험 규정

1. 종합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국어 시험을 통과해야한다.

2. 석사와 박사과정 모두 외국어 시험은 내국인의 경우 영어, 외국인의 경우 한국어 시험을 치르게 된다.

3. 학과 자체 외국어 시험은 매년 5월말, 11월말에 시행한다.

4. 1999학년도 1학기까지 입학한 석사과정생은 구 학칙대로 제2외국어로도 응시할 수 있다.(시험 일시는 대학원에서 추후 공고함)

5. 입학시험(특차, 편입, 일반) 때 TOEFL 550점(PBT) 이상의 점수를 제출했거나 또는 재학 중 TOEFL 550점 이상의 점수를 제출한 사람은 외국어 시험을 면제한다. 아울러 국가 공인 시험 성적표를 제출하는 것도 인정된다.(인증 시험 : TEPS/TOEIC/CBT TOEFL)

6. 편입한 학생 가운데 전 대학에서 영어 시험에 합격한 사람은 외국어 시험을 면제한다.

7. 인증 시험 별 합격 기준 점수는 과사무실로 문의 요망

  종합 시험 규정

1. 종합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국어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2. 석사과정생은 24학점 이상을 취득한 사람이어야 하고 현재 학기 등록을 한 상태여야 한다.(참고:졸업을 위한 최저 이수학점은 30학점임)

3. 박사과정생은 21학점 이상을 취득한 사람이어야 하고 현재 학기 등록을 한 상태여야 한다.(석사학위과정에서 이수한 학점 중 30학점을 이수학점에 포함시키는 항목을 삭제하고 박사과정에서만 이수하는 학점으로 변경. 2006년 9월 이후) (참고 : 졸업을 위한 최저 이수학점은 30학점임.)

4. 외국인 학생의 경우는 <한국어로논문쓰기및발표하기> 과목에서, 내국인 학생의 경우는 <외국어로논문쓰기및발표하기> 과목에서 ‘합격’ 판정을 받은 자만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5. 종합시험의 결과는 매년 7월 20일, 1월 20일까지 과사무실에 통보한다.

6. 각 전공에 따른 석사과정의 응시과목은 다음과 같다.

◆ 국어학 
[국어학 과정] 음운론, 통사론(필수) + 국어사, 의미론, 어휘론, 형태론, 사회언어학, 화용론 국어정보학 중 택 1 = 총 세 과목 응시 

[한국어교육학과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필수 + 수강과목 중 1과목 선택과목(수강과목 중 지도교수와 상담하여 택일) = 총 3과목 응시 (2011년 1학기 종합시험 응시자부터 적용)

◆ 현대문학 
시론, 소설론, 비평론, 글쓰기 중 택2 = 총 두 과목 응시

◆ 고전문학 
고전시가론, 고전소설론, 고전문학사 중 택2 = 총 두 과목 응시

8. 각 전공에 따른 박사과정의 응시과목은 다음과 같다.

㉮ 박사 종합시험의 과목은 <일반과목>, <확장과목>, <전공과목> 3가지로 정한다. 
박사 종합시험을 위하여 사업단 교수들이 정한 필독서(<일반과목>, <확장과목>), 각 학생의 전공분야와 관련하여 학생과 지도교수가 작성한 필독서(<전공과목>)의 목록을 각 과목당 20권 이상 30권 이내로 작성한다. 
<일반과목> - 해당 전공분야의 기본적인 이론과 역사, 방법론. 
<확장과목> - 해당 전공분야의 유관 전공분야로서, 상이한 시대 혹은 상이한 연구분야 및 방법론. 
<전공과목> - 각 학생의 세부 논문주제와 관련한 분야.

㉯ 박사종합시험은 위의 필독서 목록을 토대로 하여 필기시험과 구술시험으로 이루어진다.

㉰ <일반과목>과 <확장과목>은 필기시험으로, <전공과목>은 구술시험을 실시하거나 혹은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한다.

㉱ <전공과목>의 경우 지도교수와의 협의 하에 본인의 박사 논문과 관련된 30권 내외의 필독서 목록을 작성하여 종합시험 원서를 제출할 때 목록을 함께 제출하도록 한다.

9. 각 전공별 박사 종합시험의 실시 세부원칙은 다음과 같다.

◆ 국어학 
과목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국어학 과정] 
㉮ <일반과목>(음운론, 통사론): 각 세부과목별 10권씩의 필독서 선정 
㉯ <확장과목>(국어사, 국어학사, 형태론, 의미론, 어휘론, 사회언어학, 화용론, 국어정보학 중 3과목 선택)-각 세부과목별로 10권 내외의 필독서 선정 
㉰ <전공과목>(지도교수와의 협의 하에 본인의 박사논문과 관련된 30권 내외의 필독서 목록을 작성하여 구술시험을 실시하거나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한다.)

[한국어교육 과정] 
㉮ <일반과목>(한국어 문법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각 세부과목별 10권 내외의 필독서 선정 
㉯ <확장과목>(본인이 수강했던 과목 중 3과목 선택)-각 세부과목별로 10권 내외의 필독서 선정 
㉰ <전공과목>(지도교수와의 협의 하에 본인의 박사논문과 관련된 30권 내외의 필독서 목록을 작성하여 구술시험을 실시하거나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한다.)

종합시험은 필기시험과 구술시험으로 나누어 실시하되, 필기시험 실시 후 수일 내에 구술시험을 실시한다. 
㉮ 종합시험의 원서는 시험 실시 한 달 전에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은 원서를 제출한다.
㉯ 구술시험을 응시할 경우
(1) 석사, 박사 과정의 성적 증명서 1통
(2) 종합시험 응시 과목 및 점수 
(3) 박사논문 주제에 관한 연구계획서 
(4) 박사논문 주제와 관련한 필독서 목록 30권
(5) 박사 과정 중 발표한 소논문 목록의 다섯 가지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2011년 1학기 종합시험 응시자부터 적용)
㉰ 종합시험의 결과는 필기시험과 구술시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1) 통과 (2) 과제 혹은 재시(학기 내) (3) 재시(다음 학기)의 세 가지로 결정한다. 
㉱종합시험은 과목별 부분 응시를 가능하게 한다. 
㉲ 종합시험의 결과는 과목별로 통과 여부를 판정하되, 다음 학기에 불합격한 과목만 응시하도록 한다. 
㉳<전공과목>의 응시 자격은 종합시험의 <일반과목>과 <확장과목>을 모두 통과한 자에 한한다. 
외국인 학생의 종합시험은 한국인 학생과 동일한 규정을 적용하되, 경과 조치로 2008년 1학기 전에는 해당 대학원 위원회에서 부과하는 과제로 대치할 수 있다.

◆ 현대문학 
과목별 구성 및 과제는 다음과 같다. 
㉮ <일반과목>은 한국문학론, 문학론, 문화론, 글쓰기이론, 글쓰기연구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학연구 영역으로 구성된다. 
㉯ 현대문학 전공자 및 글쓰기 전공자는 위의 영역 중 3 영역을 선택하여 필기시험을 치른다. 단,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연구> 영역은 외국인만 응시할 수 있다. 
㉰ 현대문학 전공자 필독서와 글쓰기 전공자 필독서는 교수단에서 정한다. 
㉱ <확장과목> 시험은 논문 주제와 관련해 학생이 선택한 20-30권의 저서 목록을 지도교수와 그 외 1인의 지도위원 교수가 검토, 보완한 후 이를 출제 텍스트로 결정한다. 시험은 필기로 치른다. 
㉲ <전공과목> 시험은 구술로 실시하되 지도교수가 포함된 2인의 교수가 담당한다.

시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일반과목> 응시자는 시험 한 달 전에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은 응시원서를 제출한다. 
㉯ <일반과목>의 3영역은 과목 별 응시와 통과를 인정한다. 
㉰ <확장과목> 시험은 <일반과목>의 2영역 이상을 통과한 학생에 한해 응시 자격이 부여된다. 통과되지 않은 나머지 한 영역의 <일반과목> 시험은 <확장과목> 시험과 동시에 치를 수 있다. 
㉱ <확장과목> 시험의 출제 텍스트 목록은 <일반과목>의 시험을 2영역 이상 통과한 후 <확장과목> 응시 3개월 전까지 제출한다. 
㉲ <확장과목> 응시자는 시험 한 달 전에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은 응시원서를 제출한다. 
㉳ <전공과목> 시험은 <일반과목> 3영역과 <확장과목> 시험을 통과한 학생을 대상으로 이 두 시험을 모두 통과한 직후에 실시한다. 
㉴ 위의 규정은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학생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 고전문학 
과목 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일반과목> 한국 고전문학의 배경이 되는 경전 및 사서, 고전문학 작품(한문학, 고전시가, 고전소설, 구비문학) 등의 원전 중에서 20~30권의 필독서를 정하며, 시험은 필기로 치른다. 필기시험은 2문제를 90분 동안 치른다. 
㉯ <확장과목> 한국고전문학 연구사에서 중요한 연구서들을 선정하되, 고전문학사 , 한국한문학, 고전소설, 고전시가, 구비문학 각 분야를 포함한 권장 필독서를 총 20권 선정하며, 2문제를 출제한다. 시험은 90분 동안 치른다. 
㉰ <전공과목> 지도교수와 협의하여 응시자의 박사논문 주제와 관련된 30 종의 참고문헌 목록을 작성하여 제출하고, 확장 과목 통과 후 2주 안에 30종의 참고문헌과 논문 주제의 상관성을 요약한 보고서를 제출한다.

종합시험은 <일반과목>, <확장과목>, <전공과목>으로 나누어 실시하되, <일반과목>과 <확장과목>은 같은 날 실시할 수 있다. <전공과목>은 <일반과목>과 <확장과목>을 통과한 뒤, 2주 안에 제출하는 보고서로 평가한다. 평가는 ‘적격’ 혹은 ‘부적격’으로 하며, 평가위원은 논문 지도교수를 포함한 전공교수 3인으로 구성한다.

종합시험의 출제는 고전문학 분과 출제위원회를 열어, 분야별 출제교수를 결정한다. 분야는 고전문학사, 한문학, 고전소설, 고전시가, 구비문학의 5 분야로 나누며, <일반과목> 두 분야에 두 문제, <확장과목> 두 분야에 두 문제 씩, 총 4문제를 출제한다. <일반과목>과 <확장과목> 4문제 중에는 중첩되는 분야가 없이, 각 분야에서 고루 출제되어야 한다.

㉮ 종합시험을 치르기 위해서는, 시험 실시 한 달 전에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아 원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 <전공과목> 참고문헌 목록은 종합시험 원서 제출 시 함께 제출하여야 하고, 30종의 논저 목록이 구비되어야 한다. 
㉰ <전공과목>의 응시 자격은 종합시험의 <일반과목>과 <확장과목>을 모두 통과한 자에 한한다. 
㉱ 종합시험은 과목별 부분 응시가 가능하며, 종합시험의 결과도 과목 별로 판정한다. 단, <일반과목>과 <확장과목>은 같은 날 동시 실시가 가능하다. 두 과목 중 한 과목만 통과 한 경우, 탈락한 과목에 한해 재시를 치른다. 
㉲ 과목 별 종합시험의 결과는 (1) 통과 (2) 과제 혹은 재시 (학기 내) (3) 재시 (다음 학기)의 세 가지로 결정한다. 
외국인 학생의 종합시험은 한국인 학생과 동일한 규정을 적용한다.

9. 박사과정의 필독서 목록은 과사무실로 문의 요망

  논문 규정

1) 석사논문 
① 30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하고, 외국어 시험과 종합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② 논문 체제검사 15일 전까지 지도교수는 논문 공개발표 여부를 결정한다. (2003년 1학기부터 시행)

2) 박사논문 
① 30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하고, 외국어 시험과 종합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2006.9월부터 적용)
② 박사학위논문 원고 제출 때까지 3편 이상의 논문 발표 실적이 있어야 한다. (이 내규는 1997년 9월부터 시행한다) 
③ 논문 발표 전 학기에 예비 발표를 시행한다. (2003년 2학기 발표자부터 시행, 2003년 1학기에 예비발표)

  외국인 학생을 위한 전공과목
국어국문학과의 교과 과정은 내국인과 외국인의 이수 과목으로 이원화되어 있다. 외국인 학생을 위한 전공과목 이수 총 학점은 12학점이고, 외국인 학생을 위한 전공과목을 명시하면 다음과 같다.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특강 
◆ 외국어로서의한국어정보교육론 
◆ 대조언어학연구 
◆ 외국문학으로서의한국고전문학 
◆ 외국문학으로서의한국현대문학

  한국어 교사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과과정
한국어교사 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학생은 ‘한국어교사자격증’ 취득을 위한 과목을 수강해야 한다. 자격증 취득을 위해 반드시 이수해야 할 영역 별 교과 과정은 다음과 같다. 
(외국인 학생을 위한 전공과목들은 각각 ‘한국어교사자격증’ 취득을 위한 과목으로 대체될 수 있다. 위의 과목들이 ‘한국어교사자격증’을 위한 교과과정 중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외)는 외국인 학생을 위한 전공과목을 가리킨다.)
영역 과목 예시 필수이수학점 비고
한국어학 국어학개론, 한국어음운론, 한국어문법론, 한국어어휘론, 한국어의미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외) 등 일반 국어학 과목 3학점 선택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응용언어학, 대조언어학연구(외) 사회언어학, 외국어습득론 등 언어학 일반과목 3학점 선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한국어발음교육론,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담화교육론, 한국어교육학특강, 한국어교육과정론, 한국어평가론, 한국어교수법, 한국어표현교육론, 한국어이해교육론, 한국어교재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정보교육론(외) 등 한국어교육 관련 과목 9~12학점 선택
한국 문화 한국문화론, 외국문학으로서의한국고전문학(외), 외국문학으로서의한국현대문학(외) 등 문화 관련 과목 3학점 선택
한국어교육 실습 강의 참관, 모의 수업, 강의 실습 등 3학점 필수
합계 18학점

全国免费电话:(86-10)6506-0601  投诉电话:(86-10)6506-5811

公司地址:  北京市朝阳区东四环南路365号二层A858

京ICP备18016556号

 http://www.beian.miit.gov.cn